게이트웨이(Gateway)
호환되지 않는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연결 컴퓨터로 로컬 서브네트가 연결된 호스트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근거리 네트워크(LAN)에서 광역 네트 워크(WAN)나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게이트웨이 주소가 필요하다.

경로 테이블(Routing Table)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패킷을 중계할 다음 교환기의 주소를 적어놓은 테이블을 말한다.

관리 영역(Zone)
존이란 특정한 도메인 서버가 관리하는 영역을 말하며 웹 서버나 메일 서버 등이 있다.
광대역(Broadband)
데이터 통신에서 사람이 사용하는 음성의 대역보다 높은 대역에서 반송파를 사용하는 대역을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는 광대역 모뎀을 통해 변조해서 전송 하는 방식이다.

광응용 기술
여러 가지 상품에 광감지기를 부착하여 구별하는 바 부호 판독기(Bar Code Reader)와 책의 내용을 독해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 화상 정보를 입력시키는 영상 스캐너(Image Scanner), LED(Light Emitting Diode) 비디오 비전 등이 있다.

교착(Deadlock)
최악의 적체 현상으로 일어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말하며, 패킷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다.

교환 회선
통신에 연결된 두 장치간에 직접적으로 선로가 연결되지 않고 교환기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회선을 말하며 장치가 늘어나더라도 선로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 때때로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선로를 여러 장치가 나누어 사용하므로 용량을 충분히 사용할 수 없다.

균형 전송
두 도선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한 도선은 흐르는 전류 형태로 전송되고 다른 도선을 통해 되돌아오는 전송 방식이다. 재래식 전화 시스템과 대부분의 이중 나선에서 이용되며 잡음에 거의 영향 받지 않으며 장거리에서 더 높은 전송률을 제공한다.

기간망(Backbone, 백본)
인터넷의 근본이 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고속 통신망을 말한다.

대역폭(bandwidth)
일반적으로 주파수 특성 곡선상의 최고 이득점으로부터 3dB만큼 이득이 내려간 두 점 사이의 폭을 말한다.

단편화(Fragmentation)
'분리'라고도 말하며 높은 레벨의 연속적인 데이터를 낮은 레벨에서 같은 크기의 작은 데이터 블록으로 자르는 행위를 말한다.

데이터(Data)
특정한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가공되지 않은 단순한 사실이나 사건을 말한다.

데이터베이스(DB : DataBase)
데이터베이스란 공통으로 운영되는 데이터를 통합 저장해 둔 저장 장소를 말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이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거나 조작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 DataBase System)은 데이터베이스 관 리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사용자 등과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을 말한다.

듀얼 홈드 게이트웨이(Dual-home Gateway)
외부의 신뢰성 없는 네트워크와 내부의 네트워크를 분리시키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Dual-home Gateway로 설치된 방화벽은 인터넷과 연결 되는 모든 네트워크를 검사하여 접근 통제 기술을 적용시킬 수 있고 상세한 로그 정보도 남길 수 있다.

로밍 프로파일
로밍 프로파일이란 사용자 별로 별도의 작업 환경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다시 로그온했을 때 그 작업 환경을 불러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이다.

모뎀(Modem : MOdulator/DEModulator)
컴퓨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거나(MOdulator) 통신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DEModulator) 역할을 한다.

문자 보간(Character Interleaving)
각 타임 슬롯은 데이터에서 한 문자를 포함하며 각 문자의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는 전송 전에 제거되고 수신기에서 재삽입되는 방식으로 비동기적 데이 터 신호원에 사용된다.

반송파(Carrier Wave, Carrier Singal)
변조 방식에 있어서 정현파나 주기적인 펄스의 진폭, 주파수, 위상 등에 변화를 주어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는데 이 정보를 운반해서 보내는 역 할을 하는 정현파나 펄스를 '반송파'라 하며 반송파는 데이터 신호에 비해 훨씬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복호화(Decryption)
암호문을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본래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균형 전송
한 도선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한 도선에 신호를 전송하며 접지로 신호가 되돌아오는 전송 방식이다.

비동기 트래픽/동기 트래픽
비동기 트래픽이란 시간 제한이 엄격하지 않는 트래픽을 말하고, 동기 트래픽이란 시간 제한이 엄격해서 정해진 시간 안에 일정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 래픽을 말한다.

비트 보간(Bit Interleaving)
각각의 타임 슬롯은 1비트만을 포함하며 동기적인 데이터와 비동기적인 데이터 신호원에 사용된다.

비트 채우기(Bit Stuffing)
송신기는 프레임 내에 '1'이 연속 5개 발생하면 그 뒤에 '0'을 삽입하고 수신기는 전송받은 프레임 중에 플래그를 제외하고 '1'이 연속 5개 나타난 후 그 뒤 의 비트가 '0'이면 이 비트를 제거하고 '10'이면 플래그로 인식한다.

소유권
NTFS 파일 시스템의 모든 개체는 소유권을 가지며 한 명의 사용자나 그룹만이 소유할 수 있다. 소유권을 가지면 그 개체의 모든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소프트와이어(Softwire)
소프트와이어 전송 매체는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 것으로 공기, 해수, 진공 등이 여기에 속한다.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s)
슬라이딩 윈도우는 윈도우잉이라고도 알려진 기술로서, 인터넷의 TCP에 의해 두 개의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호스트간에 패킷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으로 사용된다.

아스키 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SCII)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드로서 8비트를 사용하며 1비트는 패리티(Parity) 비트이고, 나머지 7비트를 이용해서 27=128개의 키보드 문자나 특수 문자 등을 나 타낸다.

암호문(Ciphertext)
평문을 암호화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암호화(Encryption)
평문을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암호화한다는 뜻이다.

양벌 규정
양벌 규정이란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을 침해한 자와 그 법인의 대표자 또는 근무하는 회사, 법인, 단체가 같이 벌금형을 받는 것을 뜻한다.

양자화(Quantization)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이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면 양자화는 진폭 영역에서 이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원래의 파형을 반올림하여 일정한 개수의 대표값으로 나타내는 단계이며 원래의 파형과 양자화한 파형 사이에는 약간의 오차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을 '양자화 잡 음'이라 한다.

옥텟(octet)
8비트의 배열로 옥텟 한 개는 일반적으로 8비트로 구성된 한 바이트와 같다. 그러나, 모든 컴퓨터 시스템이 8 비트를 1 바이트로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에 8 비트 한 셋을 일컫는 분명한 의미 제공을 위해 옥텟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8진수의 의미를 갖는 octal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이더넷(Ethernet)
1990년 이후부터 가장 많이 사용되는 LAN으로서 초기에는 10Mbps 정도의 속도로 사용하였지만 멀티미디어 전송이 일반화되면서 100Mbps의 속도를 가 지는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이 생겨났다. 기존에 많이 보급된 10Base-T를 대신하여 100Base-T를 사용하게 된다.

2차적 프로그램
2차적 프로그램이란 원 프로그램을 일정 부분이나 많은 부분을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창작한 프로그램을 말하며 각종 버전업 제품 등이 여기에 속한다. 독 자적인 프로그램으로 인정되며 보호받는다.

인터네트워크(Internetwork)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은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이라 하고 네트워크와 네트워크가 연결된 전체 네트워크를 '인터네트워크'라고 한 다. 인터네트워킹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허브(Hub),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이 필요하다. 인터네트워킹의 종류는 LAN과 LAN, LAN과 WAN, WAN과 WAN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인터넷 인쇄 프로토콜(IPP : Internet Printing Protocol)
Windows 2000에 새로 생긴 기능으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 있는 프린터의 인쇄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프린터 서버 관리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프린터를 관리, 운영할 수 있다.

재합성(Reassembly)
분리된 데이터를 상위 레벨에 적합한 메시지로 합성하는 행위를 말한다.

전용 회선
통신에 연결된 두 장치간에 직접적으로 선로가 연결된 회선을 말하며 장치가 늘어날수록 선로 비용이 늘어난다. 시간에 관계없이 언제나 통신할 수 있으 며 통신 선로의 용량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전이(Transitive) 트러스트
Windows NT에서는 A 도메인이 B 도메인을 트러스트하고 B 도메인이 C 도메인을 트러스트한다고 해서 A 도메인이 C 도메인을 트러스트하지 않지만, Windows 2000에서는 A 도메인이 C 도메인을 트러스트하므로 전이(Transitive) 트러스트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전자적인 자금 이동 시스템(EFT : Electronic Funds Transfer)
디지털 서명의 응용 분야 중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기업과 기업 또는 국가와 국가 간에 엄청난 자금의 유통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디지털 서 명 기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전진 에러 수정(Forward Error Correction)
송신측에서 전송할 에러를 적절히 코딩하여 전송하면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을 보고 에러 발생 여부와 에러 복구까지 하게 되는 방식이다. 코딩이 복 잡하며 에러 검출과 수정을 위해 많은 정보를 전송해야 하므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방식
절대 경로 방식은 현재 작업 디렉토리와는 관계없이 언제나 시스템의 가장 상위 디렉토리인 /(root)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다른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방 식이다. 상대 경로 방식은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다른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예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는 '/home/xfile'이고 '/bin' 디 렉토리로 이동할 경우 절대 경로 방식은 'cd /bin'이고, 상대 경로 방식은 'cd ../../bin'이 된다.

정보(Information)
특정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가공, 재처리하여 어떤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을 말한다.

친고죄
친고죄란 고소가 있어야 처벌할 수 있는 죄를 뜻하며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의 침해하였다 해도 고소가 있어야지 검사가 수사를 할 수 있다. 친고죄에 속 하는 침해 행위는 프로그램을 공표, 복제, 개작, 번역, 배포, 발행하는 행위(제 34조 제 1항)와 권한 없이 프로그램저작자의 실명 또는 예명을 은닉하거나 프로그램의 이름을 바꾸는 행위(제 34조 제 3항 제 1호)이다.

캡슐화(Encapsulation)
각 계층이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 블록으로 만들고 데이터에 각 계층의 제어 정보를 덧붙이는 행위를 말한다.

클러스터링(Clustering)
독립적인 컴퓨터들을 그룹화한 후 같은 작업을 실행하도록 해서 한 부분의 결함이나 오류 때문에 전체 시스템이 중단되는 일이 없게 하는 기술이다. 그룹 화를 '클러스터링'이라 하며 컴퓨터 그룹을 '클러스터'라 말한다.

터미네이터(terminator)
버스형 또는 데이지체인형 네트워크의 종단에 부착하는 장치이다. 터미네이터를 붙이는 목적은 신호를 흡수함으로써 그들이 다시 반향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이더넷 네트워크에는 버스 양단에 50 옴의 저항을 가진 터미네이터를 부착해야 하며, SCSI 체인에는 체인의 맨 끝에 한 개의 터미네이터를 부착 해야 한다.

토폴로지(위상, topology)
노드들과 이에 연결된 회선들을 포함한 네트워크의 배열이나 구성을 개념적인 그림으로 표현한 것

트래픽(Traffic)
전신, 전화 등의 통신 시설에서 통신의 흐름을 지칭하는 말

트러스트(Trust)
트러스트(Trust, 신뢰)란 도메인과 도메인 간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액티브 디렉토리는 Kerberos 버전 5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같은 포리스트에 속한 도메인은 모두 양방향 트러스트와 전이 트러스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파티션(Partitions)
처음 하드 디스크를 구입하면 파티션이란 작업을 거친 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윈도우나 도스에서는 'fdisk.exe' 파일을 이용하여 파티션을 설정하 고, 리눅스에서는 리눅스를 설치할 때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다.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은 FAT16/FAT32이고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은 EXT2이기 때문에 윈 도우에서 리눅스를 인식할 수 없다.

패리티(parity)
주어진 자료의 비트열에 검사 비트를 하나 추가해서 비트열 전체에 있는 1의 개수를 항상 홀수 개나 짝수 개가 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오류를 검사하는 방법

패킷(Packet)
통신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서 메시지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패킷은 헤더(Header), 데이터, 트레일러(Trailer)로 구성 된다.

펄스 주파수 변조(PFM : Pulse Frequency Modulation)
아날로그 신호가 최대의 진폭을 가지면 펄스가 자주 발생하며 최소의 진폭을 가지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방식이다.

펄스 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변조 신호의 모든 펄스는 동일한 진폭을 가지며 각 펄스의 폭은 표본화된 값에 비례하므로 표본화 값이 커지면 펄스의 폭도 더 넓어지는 방식이다. 펄스 폭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도 균일하지 않고 신호의 크기가 증가하면 전력도 증가한다.

평문(Plaintext)
암호화할 대상이 되는 메시지를 뜻한다.

포트(port)
원격지에 있는 응용 프로세스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 메시지 큐와 같은 역할을 함

표본화(Sampling)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하여 원래의 신호를 대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이렇게 추출된 것을 '표본(Sample)'이라 한다. 원래의 신 호를 대표하기 위해 표본화의 간격을 너무 조밀하게 하면 복잡해지므로 새넌(Shannon)의 표본화 이론에 따라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의 속도로 샘플링하 면 원래의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프레넬의 반사(Fresnel Reflections)
광섬유를 융착시켜 접속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손실로 파단점의 코어나 공기의 경계면, 광전송 시스템의 콘넥터 접속점에서 생기는 반사 손실이다.

프레임(Frame)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다루는 데이터 단위로 비트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토콜 동작을 제어하는 헤더 정보와 데이터, 에러 검출 코드 등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스(Process)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는 메모리에 로딩되어 작동하는 프로그램 요소 하나 하나를 '프로세스'라고 하며, 복잡한 프로그램은 여러 프로세스로 나누어져서 동작한다.

프로토콜(Protocol)
'전송 규약' 또는 '전송 규칙'이란 뜻으로 네트워크 간의 정확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규정된 소프트웨어이다.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크게 네트워크 캐시 기능과 방화벽 기능을 가진다. 네트워크 캐시 기능이란 캐시(Cache) 기능과 유사하며 프록시 서버의 한 부분을 캐시로 지정한 후 현재 클라이언트가 읽은 데이터를 프록시 서버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가 다시 그 데이터를 원할 때 프록시 서버에 저장된 자료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내 준다. 방화벽은 내부 네트워크에 외부의 침입을 제한할 수 있고 반대로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 부로 나가는 정보를 제한받게 하는 기능으로서 보안의 효과를 가진다.

필터(Filter)
필터란 특정 주파수를 차단하고 원하는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기술이며, 사용 예로 스테레오의 이퀄라이저 기능이나 케이블 TV 등이 있다.

해적(Piracy)
해적이란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복제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런 제품을 '해적판 소프트웨어(Pirated Software)'라고 하며 같은 의미로 'Bootleg'이라고도 말한다.

핸드쉐이킹(Handshaking)
두 대의 컴퓨팅 장치에서 지원된 프로토콜과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전송률을 결정하는 과정을 말하며, 전송을 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모든 기능들이 포함된 다.

호 처리(Call Processing)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호 설정과 유지, 종료 등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들을 말한다.

홉(Hop)
홉은 라우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하나의 데이터 링크를 가르킨다. 네트워크 내에서 출발지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는 일련의 홉들로 연결된다. 홉은 패킷이 통과해야만 하는 라우터의 숫자를 측정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후진 에러 복구(Backward Error Recovery)
송신측에서 간단하게 코딩하여 전송하면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을 보고 에러 발생 여부만 체크하고 수정은 할 수 없으며 송신측에 프레임을 재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ACK(acknowledge character)
:오류 검출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수신단에서 그 데이터의 오류 발생 유무를 검사하여 일정 주기마다 송신단에 알리는데 사용되는 문자.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기 위하여 사용된다.

ADCCP(Advanced Data Communication Control Procedure)
:미표준연구소(ANSI)가 개발하였으며 미표준국(FIPS)이 연방정부 조달용으로 채택한 국제통신시스템과 관련된 국방용 표준 프로토콜이다.

ATM의 셀 구조
:사용자와 망의 인터페이스 셀 VPI는 8bit로 256개의 가상 경로를 가지며 망과 망의 인터페이스 셀 VPI는 12bit로 4096개의 가상 경로를 가진다.

Backbone(기간망, 백본)
인터넷의 근본이 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고속 통신망을 말한다.

BCD 코드(Binary Code Decimal)
초기의 IBM 메인 프레임에서 많이 사용하였으며 확장된 코드가 EBCDIC 코드이다. 7비트를 사용하며 처음 4비트는 숫자 비트이고 다음 2비트는 앞의 4비 트와 합쳐서 문자나 특수 문자를 나타내며 마지막 7비트는 패리티 비트이다.

B-ISDN(Broadband-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광대역 ISDN)
동영상과 같은 많은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보내기 위해 광섬유나 동축 케이블을 전송 매체로 이용하고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전송 기술을 사용한다.

bps(bits per second)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1초 간에 몇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bps라는 단위로 나타내며,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 또는 디스크나 테이프 등의 보조 기억 장치가 주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의 단위로 사용된다. 2만 8,800bps를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라면 1초 동안에 2만 8,800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1,000bit/s의 kbps, 100만 단위의 Mbps, 10억 단위의 Gbps, 1조 단위의 Tbps 등이 있다.

Brouter(브라우터)
브리지와 라우터의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로 네트워크 상의 세그먼트 분리를 유지하면서 물리적으로 떨어진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라우팅이 가능한 프로 토콜은 라우팅하고 그 외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브리지의 기능을 실행하는 장비로 요즘에 사용되는 라우터란 대부분 브라우터를 말한다. 각각의 브리지 나 라우터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효과가 크다.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1986년 IBM에서 개발한 문자 지향 프로토콜이다.

CCU(Communication Control Unit)
: 통신 제어 장치로서 통신 장비 사이에 설치되어 컴퓨터와 통신 회선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통신 제어 장치가 하는 기능 은 에러 복구, 회선 및 단말기 상태의 감시 점검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며 중요한 기능으로 전송 과정에서 에러 검출 및 복구, 전송 회선의 제어, 전 송 속도와 처리 속도의 차이를 해소하는 일을 한다.

Clustering(클러스터링)
: 독립적인 컴퓨터들을 그룹화한 후 같은 작업을 실행하도록 해서 한 부분의 결함이나 오류 때문에 전체 시스템이 중단되는 일이 없게 하는 기술이다. 그 룹화를 '클러스터링'이라 하며 컴퓨터 그룹을 '클러스터'라 말한다.

CMIS(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 CMIS란 관리 시스템이 하는 역할인 관리 응용 프로그램과 관리 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서비스를 말한다. 서비스에는 M-Get나 M-Set, M- Action 등의 프리미티브(Primitive)들이 있으며 각 서비스 프리미티브는 CMIP에 의해 프르토콜 데이터 유닛(PDU)으로 변환된다.

Codec(COder/DECoder 코덱)
: 한 장치 내에서 전송을 하면서 신호를 부호화하고 해독하는 장치로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거나(COder)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 호로 바꾸는(DECoder)의 역할을 한다.

CSMA/CD
: 이더넷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들은 어느 때라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전송하기 전에 회선이 사용중인지 감시하고 있다가 회선이 비어 있을 때 데 이터를 전송한다. 만약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다른 장치가 동시에 전송을 개시하면 충돌이 발생하게 되며, 충돌한 데이터들은 버려지고 데이터를 전 송한 장치들에게 재전송을 요구하게 된다. 각 장치들은 일정 시간을 대기한 후 성공할 때까지 어느 횟수만큼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DACL(Directory Access Control List)
접근 제어 항목의 리스트를 말하며 [등록 정보]의 [보안] 탭에 위치된다. 사용 권한 하나 하나를 'ACE(Access Control Entry, 접근 제어 항목)'이라 하며 ACE가 모여서 DACL이 된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전용선을 사용하면 IP 주소가 고정되지만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측에서 IP 주소를 고정하지 않고 유동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사 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DHCP 서버에게 IP 주소를 할당받은 후 작업을 시작하고 작업이 끝나면 DHCP 서버가 해당 IP 주소를 다른 클라이언트에 게 할당한다.
 
EBCDIC 코드(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코드로서 IBM 메인 프레임과 주변기기에서 많이 사용된다. 9비트를 사용하며 1비트는 패리티(Parity) 비트이고 나머지 8비트를 이용해서 28=256개의 문자나 숫자, 특수 문자 등을 나타낸다.

Ethernet(이더넷)
1990년 이후부터 가장 많이 사용되는 LAN으로서 초기에는 10Mbps 정도의 속도로 사용하였지만 멀티미디어 전송이 일반화되면서 100Mbps의 속도를 가 지는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이 생겨났다. 기존에 많이 보급된 10Base-T를 대신하여 100Base-T를 사용하게 된다.

Filter(필터)
필터란 특정 주파수를 차단하고 원하는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기술이며, 사용 예로 스테레오의 이퀄라이저 기능이나 케이블 TV 등이 있다.

Frame(프레임)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다루는 데이터 단위로 비트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토콜 동작을 제어하는 헤더 정보와 데이터, 에러 검출 코드 등으로 구성된다.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호스트 네임과 도메인 네임을 합쳐서 'FQDN'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서 FQDN이 'server1.xfile.co.kr'이면 호스트 네임은 'server1'이 되고 'xfile.co.kr'이 도메인 네임이 된다.

FSF(Free Software Foundation)
리차드 스톨만(Richard M. Stallman)이 만든 비영리 단체로서 모든 소프트웨어는 공유되어야 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운영하고 있다. GNU 선언문(The GNU Manifesto)에 따라 GNU 프로젝트에서 만든 소프트웨어는 GPL(GNU Public License) 라이센스를 가지며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사용하고 변형할 수 있다.

gateway(게이트웨이)
호환되지 않는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연결 컴퓨터로 로컬 서브네트가 연결된 호스트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근거리 네트워크(LAN)에서 광역 네트 워크(WAN)나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게이트웨이 주소가 필요하다.

GPC(Group Policy Container)/GPT(Group Policy Template)
GPC는 GPO 속성과 버전 정보를 가지는 액티브 디렉토리 개체로서 [Active Directory 사용자 및 컴퓨터] 대화 상자에서 [보기] - [고급 기능] 메뉴를 선 택하면 'system\policies'에 나타난다. GPT는 GPO의 모든 정보를 가지며 도메인 컨트롤러의 'SYSVOL\sysvol\' 폴더에 위치된다.

Hardwire (하드와이어)
하드와이어 전송 매체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가진 것으로 이중 나선이나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이 여기에 속한다.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1974년 ISO에서 개발한 문자 지향 프로토콜을 대체하기 위해 국제 표준으로 지정한 비트 지향 링크 제어 프로토콜이다.

IAB(Internet Activities Board)
인터넷구조위원회로 인터넷의 표준을 정하고 산하 기관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와 IRTF(Internet Research Task Force)의 활동을 검 토하고 RFC(Request For Comments)의 출판 과정을 관리한다.

Internetwork(인터네트워크)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은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이라 하고 네트워크와 네트워크가 연결된 전체 네트워크를 '인터네트워크'라고 한 다. 인터네트워킹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허브(Hub),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이 필요하다. 인터네트워킹의 종류는 LAN과 LAN, LAN과 WAN, WAN과 WAN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 인터넷 인쇄 프로토콜)
Windows 2000에 새로 생긴 기능으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 있는 프린터의 인쇄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프린터 서버 관리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프린터를 관리, 운영할 수 있다.

IPX/S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Sequenced Packet Exchange) 프로토콜
Novell Netware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서 비교적 작고 라우팅 기능을 지원한다.

Kernel(커널)
커널이란 운영 체제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인터럽트 처리나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등 운영 체제의 기본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핵 심 부문을 말한다.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가 X.25 패킷 교환망의 표준 중에서 한 부분으로 채택한 프로토콜이다.

LAPF(Link Access Procedure for Frame Relay)
Frame Relay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로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의해 할당된 DLCI를 이용하여 프레임 다중화 기능을 가진 다. LAPD나 LAPB 등의 프레임 구조와 비슷하지만 제어 필드가 없어서 흐름 제어나 에러 제어를 하지 않고 응답 프레임이나 프레임의 순서 번호로 필요하 지 않다.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조직이나 개체, 그리고 인터넷이나 기업 내의 인트라넷 등 네트워크 상에 있는 파일이나 장치들과 같은 자원 등의 위치를 찾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토 콜이다. 1990년 초에 발표된 Client-to-Directory Access 프로토콜로서 학계와 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1997년 IETF에서 LDAP V3 스팩을 발표하게 된다. DAP의 경량판으로 네트워크 내의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인 X.500의 축소판이다.

LILO(LInux LOader)
리눅스로 부팅하기 위한 부트 매니저(Boot Manager) 프로그램으로 윈도우와 리눅스가 한 시스템에 설치됐을 경우 부팅 시 어떤 운영 체제로 넘어갈 것인 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MAC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이란 IEEE가 정의한 데이터 링크 계층의 두 가지 서브 레이어 중의 하위 레이어로서 NIC의 48비트 하드웨어 주소를 말한다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들은 MAC 주소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포트를 찾고 라우팅 테이블과 데이터 구조를 만들거나 갱신한다. NIC 제조업 체는 IEEE로부터 상위 3바이트를 구입하여 하위 3바이트를 개개의 제품에 할당하며 NIC의 제조 시에 ROM에 찍어 판매한다.

MMC(Microsoft Management Console)
MMC란 '스냅-인(Snap-ins)'이라 불리는 관리 도구 프로그램들을 이용해서 네트워크, 컴퓨터, 서비스 및 기타 시스템 구성 요소를 관리한다. MMC는 콘 솔(Console) 트리로 구성되고 여러 스냅-인 프로그램들이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Modem : MOdulator/DEModulator(모뎀)
컴퓨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거나(MOdulator) 통신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DEModulator) 역할을 한다.

NAK(negative acknowledgement)
두 국 사이에서 데이터링크를 확립하기 위하여, 송신측으로부터 자료 전송 요구에 대하여 수신국이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송신국이 데이 터를 송출하지 않도록 하거나, 수신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어 다시 데이터를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 수신국에서 송신국에 보내는 전송 제어 신호 부호

NetBEUI(NetBIOS Extended User Interface) 프로토콜
1980년 중반부터 고속의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한 프로토콜로서 Microsoft 기반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라우팅 기능이 없으므로 라우터 밖의 세 그먼트에 접속할 수 없으며 라우터 안의 컴퓨터의 이름을 알아내고 해당 컴퓨터가 올바르게 동작하고 있는지 체크한다.

NetBIOS
NetBIOS는 호스트 이름과 같이 컴퓨터를 나타내는 이름으로 Windows 95/98/NT 등을 설치할 때 반드시 설정하는 부분이다. Windows NT 도메인의 사용 자가 Windows 2000 도메인으로 접속하기 위해 도메인 NetBIOS 이름을 지정하며 자동으로 설정된다.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유즈넷의 기사를 수집하거나 요청, 보관, 전송 등의 작업을 담당하는 프로토콜로서 사용자가 유즈넷을 사용하려면 NNTP 서버를 설정해야 한다.

Node(노드)
'절점'이라고 말하며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장치들을 가리키는 말로서, 일반적으로 호스트나 터미널 등이 여기에 속한다.

Packet(패킷)
통신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서 메시지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패킷은 헤더(Header), 데이터, 트레일러(Trailer)로 구성 된다.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 펄스 주파수 변조)
아날로그 신호가 최대의 진폭을 가지면 펄스가 자주 발생하며 최소의 진폭을 가지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방식이다.

pipe(파이프)
'|' 기호를 중심으로 왼쪽 명령의 결과가 오른쪽 명령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명령어를 한 번에 하나씩 실행하지 않고 한꺼번에 여러 개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PnP(Plug and Play)
컴퓨터에 장치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장치를 인식하는 기능으로 사용자는 수동으로 새로운 주변 장치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Proxy Agent(프록시 대리인)
SNMP를 사용하려면 모든 관리인과 관리 대리인이 UDP와 IP를 지원해야 하는데 그러한 TCP/IP를 지원하지 않는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Proxy Agent를 사용한다.

PWM(Pulse Width Modulation : 펄스 폭 변조)
변조 신호의 모든 펄스는 동일한 진폭을 가지며 각 펄스의 폭은 표본화된 값에 비례하므로 표본화 값이 커지면 펄스의 폭도 더 넓어지는 방식이다. 펄스 폭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도 균일하지 않고 신호의 크기가 증가하면 전력도 증가한다.

QPSK(Quaternary PSK)
2비트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그 값에 따라 위상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2비트의 데이터가 하나의 신호를 나타내며 신호 변화율이 2,400baud이면 데 이터 전송 속도는 4,800bps가 된다.

RAS(Remote Access Server)
원격지 사용자들에게 LAN에 연결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외부에서 사내의 정보를 활용하고 업무를 볼 수도 있으며 재택 근무도 가능하게 된다.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여러 지역 망의 경로 배정을 실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특정 망의 최단 경로를 알 수 있으며 경로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중간 라우터 수인 홉 수(Hop Count)를 사용한다.

Routing Table(경로 테이블)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패킷을 중계할 다음 교환기의 주소를 적어놓은 테이블을 말한다.

S-Card
64Kbps와 128Kbps를 동시에 사용하는 ISDN용 모뎀으로서 NT와 같이 사용해야 한다.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IBM이 개발하였으며 표준은 아니지만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SMP(Symmetric MultiProcessing, 대칭형 다중 처리)
운영 체계와 메모리를 공유하는 여러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2개부터 32개의 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와 입출력 버스 및 데이터 Path를 공유하며 하나의 운영 체제가 모든 프로세서를 관리한다.

Semantic
문장을 문자(일반적인 기호)의 배열로 보지 않고 문장이 포함하는 내용이나 의미를 문제로 삼는 것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를 정하는 규칙으로서 기호로 그 의미를 규정하고 있다.

SNA(System Networkarchitecture)
IBM 범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독자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며 1970년대에 IBM 호스트와 터미널간의 통신을 위해 개발된 독자적인 통신망 구조이다. SNA는 OSI 7 계층 모델과는 대응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Stackable Hub(스택커블 허브)
소규모 이상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허브를 여러 층으로 쌓아놓아 허브와 허브끼리 연결한 허브를 말한다.

Time slot(타임슬롯)
복수의 접속점에 하나의 전송 매체가 공유될 때 여러 접속점 사이에서 충돌없이 공유된 전송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접속점에 대해 채널을 시간적으 로 분할하여 고정, 할당하는 방식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CCITT에는 통신에 관련된 TMN를 개발하였으며 장애 관리(Fault Management),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보안 관리(Security Management), 성능 관리(Performance Management), 계정 관리(Accounting Management) 등으로 나누어진다.

Token
연속된 문자에서 구별할 수 있는 단위. 루프 또는 고리 형태의 망에서 사용권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즉 토큰이 망을 순회하며 토큰을 잡은 노드에 사용 권을 주는 방식이다.

TTL(time-to-time)
IP 패킷 내에 있는 값으로서, 그 패킷이 네트워크 내에 너무 오래 있어서 버려져야 하는지의 여부를 라우터에게 알려준다. 패킷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적당 한 시간 내에 지정한 장소에 배달되지 못하는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부정확한 라우팅 테이블의 결합은 패킷을 끝없이 순환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일정한 시 간이 지나면 그 패킷을 버리고, 재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그 사실을 발신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TTL이 사용된다.

U-Card
NT와 S-Card의 기능을 가지며 여러 개의 단말기를 다중으로 연결할 수 있는 PC 통합 카드로서 확장성이 없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1990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인터넷의 모든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해 사용되는 표준 명령 규칙이다. URL은 인터넷에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형식은 '프로토콜://호스트 도메인 네임[:포트 번호]/[디렉토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음성 통화를 기존 전화망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통신 기술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이나 IP 네트워크에 음성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기술이다. 인터넷에는 시내나 시외요금이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국제전화나 장거리 전화 등의 고가의 전화 서비스를 저렴한 시내 전 화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 전화(Internet Phone)가 있다.

WINS 서버
사용자의 쿼리에 대해 DNS 서버가 찾기에 실패하면 WINS 서버와의 통합을 통해 이름 해석을 할 수 있다. WINS 서버는 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워크에서 NetBIOS 이름을 해석하는 기능을 가지며 Windows NT와 Windows 2000에서는 DNS 서버와 WINS 서버를 통합 운영할 수 있다.

X.21bis
V계열의 동기식 모뎀에 맞게 설계된 DTE를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할 때 이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Posted by 길동이

ICQA 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입니다.
1회부터 13회까지 가장 최근(2007.09.16)의 자료모음입니다.


Posted by 길동이
ICQA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입니다.
1회부터 32회(2007년 2차)까지 자료입니다.

Posted by 길동이
4. 글로벌 설정모드의 개요

여러분이 라우터를 설정을 하려면 글로벌 설정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글로벌 설정모드로 들어가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이제부터 하나 하나 여러분은 기억을 해야 한다. 또한 라우터는 글로벌 설정모드에서 설정과 동시에 변경이 적용된다. 즉, 저장을 하지 않아도 바로 실행이 된다는 것이다. 글로벌 설정모드로 들어가는 명령어는 특권 모드에서 “config terminal” (단축 명령은 config t)이다. 여기서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겠다. 결과는 똑같을 것이지만 먼저 특권 모드에서 “config”라고 입력하고 Return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난다.
 
 
Cisco#config                   
Configuring from terminal, memory, or network [terminal]? Return key 누른다.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isco(config)#
 
이런 방법과 또 다른 하나의 방법은 특권 모드에서 “config terminal”이라고 입력후 Return key를 누르면 “Configuring from terminal, memory, or network [terminal]?”가 나타나지 않는다.
 
Cisco#config terminal or (단축 명령은 config t)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isco(config)#
 
위에서 설명한 것과 결과는 똑같다. 단지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뿐이다. 특권 모드에서 “config terminal” 커맨드를 입력하여 글로벌 설정모드로 들어왔다. 보다시피 실행 전과 실행후 차이점은 바로 “Cisco#에서 Cisco(config)#”로 변경되었을 뿐 다른 차이점은 없다. 바로 이 것이 글로벌 설정모드 상태이다. 여기서 “config terminal”명령어는 바로 글로벌 구성모드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하며, 설정을 하거나 삭제, 변경을 한다면 반드시 먼저 글로벌 설정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명령어를 실행후 나타나는 메시지은 “Cntl+Z”를 누르면 바로 특권 모드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Cisco#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isco(config)#^Z
Cisco#    
       
그럼 이제는 라우터 이름을 변경을 한번 해보자. 라우터 이름을 변경을 하려면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일단 글로벌 설정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또한 라우터 이름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는 바로 “hostname”이다. 이 것은 명령어라고 생각을 하면 된다.
커맨드 [hostname <newhostname>]
 
Cisco#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isco(config)#hostname Router
Router(config)#                 
       
호스트 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호스트명을 사용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라우터는 저장을 하지 않아도 바로 실행이 된다고 설명을 했다. 다음 장에서 더욱 더 자세히 설명을 하겠다.


◈ 인터페이스 (Interface)

인터페이스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접속할 때의 규약을 뜻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전송에 있어서는 두 개의 시스템 또는 장치를 물리적으로 접속조건을 하는 것이다.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프린터 케이블이 필요하다. 이 케이블이 바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만약 Serial 인터페이스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글로벌 설정모드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interface serial 0 (단축 명령어는 int s0)
Router(config-if)#                          
 
Router(config-if)# 프롬프트는 인터페이스 serial 0을 변경, 삭제를 할 수가 있다.
이상태에서 바로 전 단계로 이동을 하려면 “exit” 명령어를 입력한다.
        
Router(config-if)#exit
Router(config)#
    
만약 특권 모드로 이동을 하고싶다면 “Cntl+Z”를 입력하면 한번에 특권 모드로 이동을 할 수있다. “exit”는 한 단계 식 이동하지만 “Cntl+Z”는 한번에 특권 모드로 이동을 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Router(config-if)#^Z
Router#
 

◈ Password 설정


Cisco 라우터는 5개의 패스워드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보안 때문이다. Enable 명령을 사용할 때는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다른 세가지 콘솔, 보조포트, telnet등은 사용자 모드로 접근할 때 패스워드를 요구한다. Enable에서도 enable passwordenable secret password가 있고 또 다른 두 가지가 더 있지만 그리 사용하지는 않는다. 라우터를 셋팅 할 때 이 패스워드를 설정을 해야 한다. Enable 패스워드에서도 우선권이 있다. 바로 Enable secret password이다. 자세한 설명은 Enable secret password 설정 방법때 설명하도록 하고 패스워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아래와 같이 그냥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전에 있던 패스워드는 그냥 없어지고 새로 입력한 패스워드가 적용이 된다. 먼저 Enable password 설정 방법을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Enable Password
이 Enable password는 기본적으로 암호화가 되지 않는다. 암호화를 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암호화를 시켜야 한다. 암호화를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아래서 자세히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먼저 Enable password를 설정을 하려면 글로벌 설정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커맨드: Cisco(config)#enable password <newpassword>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enable password korea
Router(config)#
  
설정 방법은 그리 복잡하지 않다. 하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라우터를 가지고 장난 하거나 마음대로 설정을 변경하지 말아야 한다.

Enable secret
Enable secret 패스워드는 기본적으로 암호화가 되어서 표시된다. 또한 하드웨어 적으로 암호화가 되기 때문에 암호를 해독하기는 그리 쉽지는 않다. 위에서 잠시 말했지만 Enable secret 패스워드는 Enable password보다 강하고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두 개의 Enable 패스워드를 설정했다면 Enable secret 사용될 것이다.
즉, Enable password 와 Enable secret password를 같이 사용할 경우 Enable password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Enable secret 패스워드를 설정 방법은 Enable password처럼 글로벌 설정모드 에서 사용해야 한다.
커맨드 : Cisco(config)#enable secret <newpassword>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enable secret bestbook 
    Router(config)#
 
Enable password와 Enable secret 패스워드를 서로 틀리게 입력을 했다. 똑같이 입력을 해도 상관은 없지만 그렇게 하면 해커 들이 쉽게 라우터에 접근을 할 수가 있다.
자세한 설명은 보안에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Telnet password 설정
Telnet으로 라우터에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설정모드에서 패스워드를 설정해야 한다. 아래에서 보면 vty(Virtual Terminal password) 0 4라는 것이 있다. 이 것은 5개의 vty 라인을 설정한다는 것이다. 즉, 외부 사용자들이 Telnet으로 라우터에 접속을 할 때 허용할 수 있는 5VTY만 접속을 허용한다는 의미이며, 5VTY를 넘으면 그 뒤에 Telnet으로 접속을 하려고 하는 사용자는 접속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vty 수는 라우터의 기종의 따라 다르며. 정확히 알고 싶을 경우 아래와 같이 “line vty”뒤에 물음표를 입력후 확인할 수가 있다. Telnet password는 line 모드에서 설정을 해야 한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line vty ?
<0-4>  First Line number
Router(config)#line vty 0 4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line)#password bestbook
Router(config-line)#^Z
Router#
 
 설정을 한 후 Telnet으로 라우터에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타난다.
 
User access verification
 
Password:
 
위 설정에서 보면 “login”이라는 하나의 명령어를 사용했다. “Login”은 패스워드를 체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관은 없다. Telnet 패스워드를 설정하지 않고 라우터에 접속할 경우 에러메시지가 나타난다.  Telnet 패스워드를 사용하고 싶지 않을 경우 Router(config-line)#에서 “no login”이라는 커맨드를 사용하면 Telnet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접속을 할 수가 있다. “no”라는 의미는 삭제를 말하며, 즉, “no login”를 삭제를 하면 패스워드를 체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line vty 0 4
Router(config-line)#no login
Router(config-line)#^Z
Router#
 
이렇게 설정을 하면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그리고 다시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싶을 경우 처음부터 패스워드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line vty 0 4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line)#^Z
Router#
 
이렇게 설정을 해주면 전에 설정했던 패스워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패스워드를 다르게 설정하고 싶다면 지우고 설정할 필요가 없이 그냥 설정을 하면 된다. 그러면 기존에 있던 패스워드는 없어지고 새로 설정한 패스워드가 설정된다. 그리고 현재 외부 사용자들이 리모트로 라우터에 접속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몇번 vty로 접속을 하고 있는지 알고 싶을 경우 특권 모드에서 “show user” 명령어로 확인을 할 수가 있다.
 
Router#show user
       Line     User      Host(s)           Idle   Location
 *   2 vty 0                idle                  0    172.1.1.3
      3 vty 1                idle                 0    172.1.1.5
 
“show user”는 terminal line에 대하여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다. 위에서 보면 “*”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은 현재 VTY 포트 2 접속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location”는 접속한 컴퓨터의 IP를 나타낸 것이다. Line에서 VTY 포트 2는 Telnet에서 VTY 포트 0번째가 된다. 이유는 0번는 콘솔 포트이고 1번는 AUX 포트이다. 그리고 2에서 6까지가 바로 Telnet VTY 포트번호가 되는 것이다. 특권모드에서 아래와 같이 커맨드를 입력후 확인 할 수가 있다.
 
콘솔 패스워드   
콘솔 패스워드를 설정을 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이 라우터에 콘솔로 연결후 셋팅을 하지 못하기 위해서 설정 하는 것이다. 콘솔 패스워드 설정 방법은 Telnet과 같이 line 모드에서 사용한다. 명령어는 “line console 0"이다. 명문 “O”가 아니고 숫자 “0”이다. “0”은 콘솔포트가 하나이기 때문에 0을 사용하는 것이다. 
커맨드: Router(config)#line con <port-number>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line console ?
<0-0>  First Line number
Router(config)#line console 0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line)#password bestbook
 
 보조 패스워드
보조 패스워드도 콘솔 패스워드와 거의 비슷하다. 보조포트도 한 개의 포트만 있기 때문에 “0”을 사용한다.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line aux ?
<0-0>  First Line number  
Router(config)#line aux 0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line)#password bestbook
 

◈ 배너 설정 (Banner config)

외부 사용자들이 리모트로 라우터에 접속을할 때 banner message를 나타나게 설정하는 것
이다. 즉, Telnet으로 라우터에 접속을 할 때 표시가 되며, 설정 방법은 4가지가 있다.
먼저 글로벌 설정모드에서 아래와 같이 커맨드를 사용하면 된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banner ?       
LINE       c banner-text c, where 'c' is a delimiting character
exec       Set EXEC process creation banner
incoming   Set incoming terminal line banner
login       Set login banner
motd       Set Message of the Day banner

배너 설정에서 먼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MOTD(Message of the Day)”이다. MOTD는 Telnet으로 접속를 할 때 메시지를 먼저 보여 준다. 설정 모드에서 모두 구성을 할 수가 있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banner motd #
Enter TEXT message.  End with the character '#'.
Cisco Router Configuration Guide #
Router(config)#^Z
Router#

마지막에 “#”는 꼭 입력을 해야 한다. 설정을 종료하고싶을 경우 “Ctrl+Z”를 누르면 된다. 만약 마지막에 “#”을 설정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배너 모드는 설정되지 않는다. Telnet으로 라우터에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이 메시지를 볼수가 있을 것이다. 

Cisco Router Configuration Guide
User access verification
 
Password:

또한 한글로 메시지를 출력을 하고싶을 경우 Character를 수정을 해주어야 한다. 라우터는 모든 character는 7bit로 되어 있어 한글로 출력을 할때는 character를 8bit 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default-value exec-character-bits 8
Router(config)#^Z
Router#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이렇게 설정후 배너 모드에서 한글로 구성할 수가 있다.
 
Exec banner
EXEC프로세스가 생성될 떄 배너를 설정을 해주는 것이다. 즉, Telnet으로 라우터에 액세스후 패스워드를 입력후 사용사 모드로 들어갈 때 메시지가 나타내는 것이다. 설정 방법을 MOTD와 같다.
 
Router#config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banner exec #
Enter TEXT message.  End with the character '#'.
Cisco Router Exec #
Router(config)#^Z
Router#
 
모든 설정이 완료 되었으면 Telnet으로 라우터에 접속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후 엔터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날 것이다.

User access verification

Password:
Cisco Router Exec
Router>

Incoming banner
Incoming banner는 역으로 telnet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배너가 나타나도록 설정 하는 것이다.

Posted by 길동이
문제유형 및 제한시간

실기 시험은 PC정비사와 달리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집니다.
2급에서 첫번째 케이블링(10분내 제작),  두번째 라우터 시뮬레이션, 마지막으로 윈도우2000 시뮬레이션순으로 시험을 치룹니다 시간은 총 70분이고 케이블링은 별도로 10분이 추가됩니다.
반대로 1급의 경우 케이블링이 제외되고 라우터와 윈도우 2000 시뮬레이션에서만 문제가 출제됩니다. 1급의 실기시간은 100분.
케이블링 문제는 별도로 제작방법을 작성했습니다. ---> 케이블링 제작 바로가기

이 글은 세번째 Windows 2000 시뮬레이션 설정연습에 필요한 항목 소개이며 몇가지 유형으로 다시 나누어 집니다.

1. 콘솔 명령어 -> 네트워크와 관련된 명령어 또는 리눅스 명령어
2. 작업형 문제 - 아래에 해설됩니다.
3. 서술형 문제 - 주로 네트워크 신기술에 대한 주관식 용어 문제
4. 드래그 앤 드롭형 문제 - 네트워크 장비들에 대한 각 부품들 끌어다 놓기
5. 다지선다 - 네트워크나 NOS 기술에 대한 선택형( 답이 1개이거나 전체일수도 있음)

실기 전체 수검 진행 과정은 이 곳으로..! ---> http://goodpc.tistory.com/49

2번 작업형 문제 즉, Windows 2000의 설정문제에 자주 나오는 시뮬레이션 활용에 대한 글입니다. 아직 유형이 바뀌지 않았다면 거의 100% 아래 주요 설정에서 출제되기 때문에 기출문제, 또는 예상문제를 출력하여서 충분히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가상 윈도우 활용(작업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 정방향, 역방향 DNS Zone 파일 생성

DHCP - DHCP 서버 설정, 기본 Gateway 설정

도메인 사용 관리자 - 일반 유저 생성- 그룹 및 패스워드 설정

네트워크 등록정보 - 프로토콜 추가/제거, IP설정, 2차 IP설정(고급), 방화벽의 설정/해제

시스템 등록정보 - 컴퓨터 이름과 작업그룹 변경, 하드웨어 추가/제거, 하드웨어 프로필 관리, 가상메모리 관리, 시각효과 관련 설정, 시스템복원 설정, 윈도우 자동업데이트, 원격지원관련 설정, 드라이버 서명확인 설정

이벤트 뷰어 - 이벤트 설정(로그 생성파일 결정)

성능 - 시스템 성능 측정 및 설정

로컬 보안 정책 - 암호관련 보안, 계정 잠금 관련 보안, 사용자 권한 설정 등 전반적인 시스템 보안설정(XP Pro)

IIS - WWW, FTP, SMTP 설정

Permisson - 계정 별 권한 설정

디스크 매니저 - 디스크 분할 및 시스템 타입 설정

프로그램 추가/제거 - 2000 서버 설치 프로그램 추가 및 제거

레지스트리 - 윈도우 레지스트리의 편집과 레지스트리를 파일로 저장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 NAT 서버 설정

공유 등록정보 - 공유 폴더 삭제

터미널 서비스 구성 - 원격터미널 서비스 구성 세션 사용 및 보안 설정

WINS - Wins 서버 설정

서비스 - 윈도우 지원 서비스의 중지 및 실행, 시작유형 설정, 서비스 실행실패시 옵션설정

* 신규 추가 작업(위 화면에 누락되었지만 최근 시험에 나오기 시작함)

아웃룩(계정) - 아웃룩 계정 설정(보내는 받는 메일 서버 및 계정 암호, 보안 설정)

아웃룩(옵션) - 서명 및 환경 설정

인터넷 등록 정보 - 시작페이지 설정, 임시인터넷파일 제거, 인터넷보안설정, 내용관리, 자동완성, 프록시 서버 설정, 팝업차단 설정, 전반적인 인터넷 오류 해결

가상 윈도우 닫기 - 해당문제 완료 후 가상윈도우 도구 모음 종료

Posted by 길동이
UTP 케이블 제작 방법입니다.
네트워크관리사와 PC정비사 2급에서 공통으로 1번문제에 해당되며 배점 6.5점입니다.
충분한 연습으로 10분내에 제작할수 있도록 하시고 자신의 툴이 있다면 지참해도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길동이
1급과 2급의 차이점을 비교하셔서 해당 항목에 한해 실기 시뮬레이션, 리눅스 명령어, 라우터 시뮬레이션으로 중점 공부하시면 보다 쉽게 목표를 이루실 수 있을거예요.. . ^^

아래 그림을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길동이
ICQA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기출문제입니다.
26회 이상의 기출문제는 각 포털의 카페나 블로그에서 검색하시면 쉽게 받으실 수 있는데.. 내용이 좀 많이 미흡해서 올리지 않습니다. 정리되는 대로 올리겠습니다.





Posted by 길동이
이전버튼 1 이전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