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 比(견줄 비)
두 사람이 나란히 서 있는 모습으로, '나란히 있다', '비교하다'의 뜻과 관련이 있다.
例) 毖(삼갈 비), 毗(도울 비)
082 毛(털 모)
사람의 머리털의 형상이다. 徐灝는 “사람과 짐승은 毛라 하고, 새는 羽라 하며, 섞어서 毛라고 통용한다.”라고 하였다.
例)
① 毨(털갈 선), 毫(가는 털 호), 氈(모전 전), 毳(솜털 취), 毯(담요 담)
② 芼(풀우거질 모, 艸부), 尾(꼬리 미, 尸부)
083 氏(각시 씨 / 성씨 씨)
1) 나무막대기 끝에 용이나 뱀 같은 모양의 totem이 걸려있는 모습으로, 종족의 상징물 2) 손잡이가 달린 작은 칼로, 공동식사 때 쓰는 고기 자르는 칼을 나타낸다. 즉 공동식사에 참여하는 것은 씨족원이므로 '씨족'의 뜻이다. 3) 民과 비슷한 모양으로, 위쪽의 사선은 '감은 눈'을, 세로선은 칼로 눈이 찔려 못쓰게 된 모습으로, '눈이 찔려 망가진 피지배 씨족'의 뜻
例) 柢(근본 저), 民(백성 민)
084 气(기운 기)
구름이 일어나는 모양을 상형한 것으로, 세 개인 것은 많은 것을 나타내는 三이다.
例) 餼(보낼 희), 氛(기운 분), 氣(기운 기)
085 水(물 수)
흘러가는 강물의 모습
例) 河(강 이름 하), 溺(빠질 익), 衍(넘칠 연), 淵(못 연), 沚(물가 지), 派(물갈래 파), 泳(헤엄칠 영), 沈(가라앉을 침), 浴(목욕할 욕), 滴(물방울 적), 漢(한수 한), 浪(물결랑(낭)), 油(기름 유), 淨(깨끗할 정), 濕(축축할 습), 泡(거품 포), 淸(맑을 청), 滿(찰 만), 滑(미끄러울 활), 注(물댈 주), 沒(가라앉을 몰), 寖(잠길 침)
086 火(불 화)
불꽃이 솟아오르는 모습
例)
① 불과 관련된 글자: 然(그러할 연), 燒(사를 소), 烈(세찰 렬), 煦(따뜻하게 할 후), 焛(불꽃 린(인)), 炭(숯 탄), (밥지을 천), 炊(불땔 취), 熹(성할 희), 煎(달일 전), 爆(터질 폭), 燭(촛불 촉), 焚(불사를 분), 焦(그을릴 초), 煙(연기 연), (숯불 온), 照(비출 조), 熠(빛날 습), 煜(빛날 욱), 炯(빛날 형), 熙(빛날 희), 炙(고기 구을 적)
② 기타: 烏(까마귀 오), 無(없을 무), 燕(제비 연)
087 爪(손톱 조)
아래를 향해 무엇인가 잡는 손과 손톱의 모습으로, '손톱', '발톱', '손으로 잡다' 등의 뜻이다.
例)
① 爲(할 위), 爭(다툴 쟁), 爰(이에 원, 援(당길 원)의 본래자), 爬(긁을 파)
② 孚(미쁠 부, 子부), 受(받을 수, 又부), 舀(퍼낼 요, 臼부)
088 父(아비 부)
《說文解字》에서는 손에 몽둥이를 들고 지엄하게 가족들을 인솔하고 가르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한 손에 돌도끼를 잡고 있는 모습으로, '밭에서 일하는 남자', 또는 '한 가족의 통솔자'라는 뜻이다.
例) 爸(아비 파), 爹(아비 다), 爺(아비 야)
089 爻(효 효)
점을 칠 때 쓰는 대나무 가지를 서로 엇갈려 놓아 둔 모습
例) 爽(시원할 상), 爾(너 이)
090 爿(나무조각 장)
나무의 왼 쪽 조각으로 '牀(평상 상)'의 본래 글자.
例) 牀(평상 상), 牆(담 장)
091 片(조각 편)
나무의 오른 쪽 조각으로, '나무를 쪼개서 얇게 만든 납작한 물건'이란 뜻이다.
例) 版(널 판), 牘(편지 독), 牒(서찰 첩), 牖(창 유), 牌(패 패)
092 牙(어금니 아)
위아래의 어금니가 서로 맞물려 있는 모양으로 壯齒이다. 斷玉裁는 “통틀어 말하면 모두 ‘齒’라 하기도 ‘牙’라 하기도 하지만 나누어 말하면 앞의 입술에 닿은 것을 ‘齒’라 하고, 뒤의 광대뼈에 있는 것을 ‘牙’라고 한다.”라고 하여 ‘齒’와 ‘牙’를 구분하였다.
例) 牙奇 (송곳니 기), 牙禹 (충치 우), 牚(버팀목 탱)
093 牛(소 우)
긴 뿔이 달린 소의 머리와 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
例) 牡(수컷 모), 牝(암컷 빈), 特(수컷 특), 牟(소 우는소리 모), 牲(희생 생), 牽(끌 견), 牢(우리 뢰), 犁(얼룩소 리), 物(만물 물), 犧(희생 희), 牧(칠 목), 牿(우리 곡)
094 犬(개 견)
甲骨文은 개가 위로 매달아 있는 상태에서 꼬리를 위로 감아올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개', '짐승류', '이민족', '수렵' 등과 관련된다.
例)
① 狗(개 구), 猪(돼지저), 狼(이리 랑), 狐(여우 호), 猫(고양이 묘), 猿(원숭이 원), 獅(사자 사), 獸(짐승 수), 尨(삽살개 방), 猥(함부로 외), 狀(형상 상), 狎(익숙할 압), 犯(범할 범), 猜(새암할 시), 獨(홀로 독), 獵(사냥 렵(엽)), 獻(바칠 헌), 狂(미칠 광), 猶(오히려 유), 獵(사냥 렵)
② 臭(냄새 취, 自부)
095 玄(검을 현)
1) 금문에서는 매달려 있는 실 모양으로, 실이 매달려 있는 빈 곳은 빛이 잘 비치지 않아 어둡기 때문에 '검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玄'과 ' 幺(작을 요)'는 본래 같았으나, 음과 뜻이 달라졌다. 小篆 이후 '亠'을 덧붙여, 숨겨진 작은 사물에 덮개를 더해 애초에 물체를 찾기가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이리하여 '깊숙하다', '심오하다'는 뜻이 됐다. 2) 弦(시위 현)의 본래자로, 가죽을 꼬아서 활시위를 만들었는데, 그것의 색깔이 검붉었기 때문에 '검붉은 색'이란 뜻을 나타낸다.
例)
① 玆(검을, 이 자), 率(거느릴 솔), 玈(검을 로)
② 弦(시위 현), 絃(악기 줄 현), 痃(힘줄 당기는 병 현), 牽(끌 견)
096 玉 (임금 왕 / 구슬 옥)
1)《說文解字》에서 王은 이 三을 꿴 모양이다. 王자의 맨 위의 가로획은 天, 맨 아래의 것은 地, 중간 것은 人이고, 세로획이 셋을 관통한다는 의미에서 천하통치자라고 풀이했다. 2) 갑골문 금문에서는 날이 아래로 향한 도끼를 본뜬 모양이다. 이 도끼는 천하를 정복하는데 사용되는 병기의 일종이자 사령집행에 사용되는 형구(刑具)의 하나였다. 따라서 도끼는 왕권과 군사통수권의 상징물이다. 3) 玉 세 개를 끈으로 꿰놓은 모습
例)
① 珊(산호 산), 珠(구슬 주), 瑛(옥빛 영), 璧(둥근 옥 벽), 環(고리 환), 瑕(티 하), 琢(쫄 탁), 理(다스릴 리), 珍(보배 진), 玩(희롱할 완)
② 弄(희롱할 롱, 廾부), 皇(임금 황, 白부)
097 瓜(오이 과)
金文은 참외넝쿨에 열매가 열린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바깥 부분은 넝쿨을, 가운데 부분은 열매를 나타낸다. 나무에 달리는 열매는 '果', 일년생 넝쿨에 열리는 열매는 '瓜'이다.
例) 瓠(표주박 호), 瓢(박 표), 瓣(오이씨 판), 瓟(오이 박)
098 瓦(기와 와)
진흙을 빚은 다음 불에 구워서 만든 질그릇과 도자기 종류로, 후대에 의미가 축소되어 '기와'를 뜻한다.
例) 甁(병 병), 瓮(독 옹), 瓨(항아리 강), 甗(시루 언)
099 甘(달 감)
甲骨文은 입안에 짧은 가로 선을 그어 음식물이 입 안에 있을 때 단맛을 느낄 수 있는 감각부위가 이 곳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例)
① 甛(달 첨), 甚(심할 심)
② 饜(물릴 염, 犬부), 嘗(맛볼 상, 口부), 旨(맛있을 지, 日부)
100 生(날 생)
초목이 땅 위로 돋아나서 자라는 형상으로, '나다', '살다', '자라다', '만들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
例) 産(낳을 산), 甦(소생할 소), 甥(생질 생)
101 用(쓸 용)
甲骨文과 金文은 甬(골목길 용)의 본래자로, 꼭지가 달린 종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 종의 꼭지에 막대를 끼워서 들어올린다는 의미에서 '들어올리다', '채용하다', '쓰다'는 의미를 나타나게 되었다.
例) 甫(클 보), 甬(길 용)
102 田(밭 전)
甲骨文은 네모나게 구획난 耕地나 狩獵地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네모 속의 十자는 밭과 밭 사이에 난 길이며, 남북으로 난 것을 阡(천), 동서(一)로 난 것을 陌(맥)이라고 한다. 고대 귀족들은 도랑을 경계로 한 方形의 제방을 쌓은 ‘囿(동산 유)’에서 사냥 경기를 하였다고 한다. 이것을 따르면 ‘田’의 本義는 ‘사냥하다’이다.
例) 町(밭두둑 정), 疇(밭두둑 주), 甸(경기 전), 畔(두둑 반), 界(지경 계), 畺(지경 강), 畜(쌓을 축)
103 疋(발 소)
위에는 장단지와 무릎, 아래에는 발이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발(足)을 나타낸다. ‘疋’는 본래 발의 모양을 그린 것이므로 ‘발 소’이지만, ‘匹(짝필)’과 통용되었기 때문에 ‘짝 필’이라고도 하며, ‘바르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기 때문에 ‘雅’와 同字로 보고 ‘아’로 읽기도 한다. 또한 자형이 ‘正’과 비슷하기 때문에 ‘正’의 古字로 쓰이기도 하였다.
例)
① 疏(疎, 트일 소), 疑(의심할 의)
② 旋(돌 선, 方부)
104 疒(병들어 기댈 녁)
사람이 병들어 침상위에 누워 앓고 있는 모습으로, '病'의 본래자이다
例)
① 질병과 관련된 글자: 疾(병 질), 病(병 병), 痛(아플 통), 痕(흉터 흔), 疫(염병 역), 症(증세 증), 痛(아플 통), 癌(암 암), 痔(치질 치)
② 病的인 현상과 관련된 글자: 癡(어리석을 치), 疲(지칠 피), 疵(흠 자), 瘦(파리할 수)
105 癶(등질, 걸을 발)
甲骨文은 두 발로 어디에 올라가거나 무엇을 밟고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두 발을 나란히 하고 있다'는 뜻을 나타낸다.
例) 登(오를 등), 癹(짓밟을 발)
106 白(흰 백)
1) 촛불 심지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밝다', '분명하다', '희다'의 뜻이다. 2) '日'의 위를 뾰족하게 그려, 아침 해가 地面 위로 막 솟아오른 모습을 본뜬 것으로, '희다'는 뜻이다. 3) 두개골이 白骨化한 것 즉 해골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희다'는 뜻이다. 4) 도토리 모양을 본뜬 것이다 '희다'는 뜻이다.
例)
① 皎(달빛 교), 皚(흴 애), 皦(옥석 흴 교), 皛(나타날, 휠 효), 皓(흴 호), 皇(임금 황), 皆(다 개)
② 帛(비단 백, 巾부)
107 皮(가죽 피)
덮여 있음을 뜻하는 厂(언덕 한)에, 뾰족하고 날카로운 연장을 상징하는丨(통할 곤)과 오른손을 의미하는 又(또 우)로 구성된 글자로, 덮여있는 부위를 날카로운 연장을 이용해서 손으로 벗겨 쓰는 부위가 (동물의) 가죽이라는 뜻이다. '革'은 벗겨낸 껍질, '皮'는 벗겨내기 전의 피부의 상태, 벗겨내는 동작을 나타낸다.
例) 皺(주름 추), 皯(기미 낄 간), 皴(주름 준)
108 皿(그릇 명)
물건을 담아 놓는 그릇의 단면도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例)
① 그릇의 종류를 나타내는 글자: 盂(바리 우), 盧(밥그릇 로), 盆(동이 분), 盥(대야 관), 盞(잔 잔), 盃(杯, 잔 배)
② 그릇과 관련되어 비롯된 글자: 益(더할 익), 盈(찰 영), 盡(다될 진), 盛(담을 성), 盜(훔칠 도), 盟(맹세할 맹), 監(볼 감)
109 目(눈 목)
사람의 눈의 모양. 외각은 눈두덩을 그렸고, 내부는 눈동자를 그린 것이다. 小篆에서는 직선으로 곧게 펴서 原形과는 멀어지게 되었다.
例)
① 눈이나 눈과 관련된 기관을 나타내는 글자: 眼(눈 안), 睛(눈동자 정), 瞳(눈동자 동), 眉(눈썹 미)
② 눈의 활동이나 상태와 관련된 글자: 相(서로 상), 看(볼 간), 睡(잘 수), 眷(돌아볼 권), 眣(사팔눈 질), 瞚(눈 깜짝일 순), 睹(볼 도), 瞿(볼 구), 盲(소경 맹)
110 矛(창 모)
긴 자루 끝에 날카로운 칼날이 붙어있는 무기나 창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矛(창 모)는 앞으로 찌르기 좋도록 되었고, 戈(창 과)는 옆으로 후려치거나 낚아채기에 좋게 되었다.
例)
① 矠(작살, 창 색), 矜(창자루, 불쌍히 여길 긍), 矞(송곳질 할 율), 矟(창 삭)
② 柔(부드러울 유, 木부)
111 矢(화살 시)
화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위쪽은 화살촉, 중간부분은 화살대, 아래쪽은 화살의 꼬리이다.
例) 短(짧을 단), 知(알 지), 矩(곱자 구), 矯(바로잡을 교), 矮(키 작을 왜)
112 石(돌 석)
절벽이나 낭떠러지 아래에 떨어져 있는 돌을 본뜬 상형자로, '돌', '돌의 상태'와 관련된다. 或者는 甲骨文의 형상은 돌로 만든 칼[石刀]이 변하여 된 글자라고 하였다.
例)
① 砂(모래 사), 磁(자석 자), 碧(푸를 벽), 硯(벼루 연), 碑(돌기둥 비), 磬(경쇠 경), 礎(주춧돌 초), 硬(굳을 경), 破(깨뜨릴 파), 碎(부술 쇄), 硏(갈 연), 磨(갈 마), 磊(돌무더기 뢰(뇌)), 碩(클 석)
② 斫(벨 작, 斤부)
113 示(보일 시)
1) 二가 天地間의 형상을 상징하여 하늘이란 의미를 지니고, 하늘의 해, 달, 별을 상징하는 小를 받친 글자라고 보는 견해 2) 一은 하나로 모으다란 의미가 있으므로 제단 위에 음식을 모아놓았음을 나타낸 글자라고 보는 견해 3) 神에게 제사지낼 때 제물을 올려놓는 제단의 모습으로 보는 견해. 어느 설을 따르든 제사를 의미하는 글자이며, 이러한 제사는 신에게 보이는 의식이므로, 그 훈이 '보일 시'가 되었다. 따라서 ‘示’를 따르는 글자들의 本義는 일반적으로 조상들에 대한 숭배, 신, 제사, 吉凶禍福 등과 관련된다고 할 것이다.
例)
① 神과 관련된 글자: 神(귀신 신), 社(토지의 신 사), 祇(토지의 신 기)
② 제사나 제사 행위와 관련된 글자: 祭(제사 제), 祀(제사 사), 祖(조상 ), 祠(사당 사), 祝(빌 축), 禮(예도 례), 祐(도울 우)
③ 吉凶禍福과 관련된 글자: 祥(상서로울 상), 祉(복 지), 福(복 복), 禍(재화 화)
114 禸(발자국 유)
1) 짐승의 뒷발이 땅을 밟고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발자국'을 나타낸다. 좌우가 열려있는 것이 '뒷발', 가운데의 이 '꼬리'로, 蹂(짓밟을 유)와 같은 뜻이라고 한다. 2) 큰 손으로 벌레 한 마리를 잡고 있는 모습 3) 두 마리의 벌레가 서로 밟고 있는 모습 4) 손으로 막대기를 잡고 있는 모습. '동물'과 관련이 있다.
例) 禽(날짐승 금), (도깨비, 산신 리), 禹(벌레, 하우씨 우), (긴 꼬리 원숭이 우)
115 禾(벼 화)
줄기 끝에 벼이삭이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으로, 위쪽은 이삭과 잎을, 아래는 줄기와 뿌리를 나타낸다. '벼', '곡식', '수확', '조세'와 관련된다.
例)
① 秧(모 앙), 種(씨 종), 稷(기장 직), 稻(벼 도), 穀(곡식 곡), 秉(잡을 병), 稅(세), 秋(가을 추), 秦(벼 이름 진), 稼(심을 가), 穫(벼 벨 확), 穡(거둘 색), 科(품등 과), 稀(드물 희), 稟(줄 품)
② 年(해 년)
116 穴(구멍 혈)
바위굴이나 땅을 파서 만든 동굴의 입구 모습으로, '굴', '구멍 모양의 器物', '구멍의 상태', '구멍을 뚫는 것'과 관련된다.
例) 窓(창 창), 窟(굴 굴), 窯(기와 굽는 가마 요), 竅(구멍 규), 穿(뚫을 천), 空(빌 공), 突(갑자기 돌), 究(궁구할 구), 窺(엿볼 규), 竊(훔칠 절), 竄(숨을 찬)
117 立(설 립)
땅 위에 한 사람이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
例)
① 사람이나 물체가 바로 선 것과 관련된 글자: 竝(아우를 병), 站(우두커니 설 참), 端(바를 단)
② 기타: 竟(다할 경), 章(글 장), 童(아이 동)
118 竹(대 죽)
잎사귀 두 개가 아래로 드리워져 있는 대나무 가지 두 개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옛날에는 책을 竹簡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저술과 관련되거나, 또 악기를 만드는데 사용하였기 때문에 관현기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例)
① 대나무로 만든 기물: 筒(대롱 통), 箭(화살 전), 筌(통발 전), 笠(삿갓 립), 策(채찍 책), 箸(젓가락 저), 節(마디 절), 簾(발 렴), 籠(대그릇 농)
② 저술과 관련된 글자: 筆(붓 필), 籍(서적 적), 篇(책 편), 簡(대쪽 간), 簿(장부 부)
③ 악기의 종류: 笛(피리 적), 簫(퉁소 소), 笙(생황 생), 篁(피리 황), 簧(혀 황), 龠(피리 약)
119 米(쌀 미)
甲骨文은 쌀알이 그릇 안의 가로막이 양쪽에 세 개씩 (셋은 많음을 의미) 흩어져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 가로막이가 후에 十자로 모양이 변했다. '米'는 '껍질이 벗겨진 알맹이인 쌀'을 뜻하고, '稻'는 '벼'를 나타낸다.
例) 粉(가루 분), 粒(알 립), 粟(조 속), 粱(기장 량), 精(쓸은 쌀, 자세할 정), 粥(죽 죽), 糟(지게미 조), 糠(겨 강), 糞(똥 분), 粹(불순물이 없는 쌀, 순수할 수), 糶(쌀 내어 팔 조), 糴(쌀 사들일 적)
120 糸(가는 실 사(멱)
한 타래의 명주 실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가는 실이란 뜻이다. 甲骨文에서는 絲,幺(작을 요)는 동일한 글자였다.
例)
① 실과 관련된 글자: 緖(실마리 서), 純(生絲 순), 經(날 경), 緯(씨 위), 紀(실마리 기), 組(끈 조), 紐(끈 뉴), 繩(줄 승), 紙(종이 지), 網(그물 망)
② 실의 속성이나 활동과 관련된 글자: 系(이을 계), 糾(꼴 규), 絶(끊을 절), 續(이을 속), 紹(이을 소), 細(가늘 세), 紊(어지러울 문), 約(묶을 약), 結(맺을 결), 編(엮을 편), 紛(어지러워질 분), 繫(맬 계), 縣(매달 현)
③ 색깔: 綠(초록빛 록), 紫(자주빛 자), 紅(붉을 홍), 紺(감색 감), 緇(검은 비단 치), 綠(초록빛 록), 素(흴 소)
'관심가는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의 이해 - 166里(마을 리) ~ 214龠(피리 약) (1) | 2008.12.10 |
---|---|
한자의 이해 - 121缶(장군 부) ~ 165釆(분별한 변) (0) | 2008.12.10 |
한자의 이해 - 041寸(마디 촌) ~ 080毋(말 무 / 어미 모) (0) | 2008.12.10 |
한자의 이해 - 001一(한 일) ~ 040宀(집 면) (0) | 2008.12.10 |
한자의 이해 - 서문 (2) | 2008.12.10 |